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갑작스럽게 문자가 왔는데, 근로장려금? 자녀장려금? 이게 뭐지 싶으셨죠?
    놓치면 최대 330만 원까지 손해 볼 수 있는 정부지원금, 5월 안에 꼭 챙겨야 합니다.
    누구에게, 얼마나,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 근로·자녀장려금, 지금이 신청할 때!

     

    2025년 5월 정기분 근로·자녀장려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신청 기간은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로, 이 시기를 놓치면 연 최대 33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.
   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종교인 소득이 있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, 가구 유형과 총소득, 재산 기준에 따라 지급액이 산정됩니다.
    이번엔 자동신청 대상도 확대되고, 모바일 신청과 AI 상담도 강화되어 더욱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

    근로·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정리

     

    신청은 1가구당 1명만 가능하며, 아래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항목 기준
    가구 요건 - 단독가구: 배우자, 자녀, 70세 이상 직계존속 無
    - 홑벌이가구: 위 조건 중 1명 이상 있음
    - 맞벌이가구: 신청인+배우자 모두 소득 있음
    소득 요건 - 단독: 2,200만 원 미만
    - 홑벌이: 3,200만 원 미만
    - 맞벌이: 4,400만 원 미만
    ※ 자녀장려금은 가구 합산 7,000만 원 미만 시 지급
    재산 요건 - 2024년 6월 1일 기준, 가구원 재산 합계 2억 4천만 원 미만



    신청 방법과 절차, 어떻게 진행되나요?

     

     

    자동신청 제도와 모바일 안내가 확대되면서 누구나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• 📱 모바일 신청: 카카오톡, 네이버 전자문서, 국민비서, KT 문자로 발송되는 안내문 클릭
    • 📞 ARS 전화: 1544-9944로 신청 가능
    • 💻 홈택스: 모바일 또는 PC에서 로그인 후 신청
    • 📲 콜백 서비스: 장려금 상담센터(1566-3636)에서 대기시간 시 전화 예약 가능

     

    또한 AI 상담 및 '보이는 ARS'를 통한 빠른 문의도 가능해졌으며, 만 60세 이상만 가능했던 자동신청도 이제 전 연령으로 확대되어 접근성이 높아졌습니다.



    최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
     

   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의 지급액은 다음 기준을 따릅니다.

     

    구분 총소득 기준 최대 지급액
    단독가구 2,200만 원 미만 165만 원
    홑벌이가구 3,200만 원 미만 285만 원
    맞벌이가구 4,400만 원 미만 330만 원
    자녀장려금 7,000만 원 미만 자녀 1인당 100만 원 (최소 50만 원)

     

    예를 들어, 맞벌이 부부가 자녀 2명을 둔 경우, 최대 5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셈입니다.



    자주 묻는 질문 (Q&A)

     

    Q1. 자동신청 동의는 어떻게 하나요?
    A1. 모바일 안내문 수신 후, 동의 절차에 따라 설정 가능하며 홈택스에서도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Q2. 재산 기준에서 부채는 차감되나요?
    A2. 아닙니다. 재산 평가 시 부채는 차감되지 않습니다.

     

    Q3. 본인 외 가족이 신청할 수 있나요?
    A3. 1가구 1인 신청 원칙이며, 조건을 충족하는 가구원만 신청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Q4. 이미 신청했는지 어떻게 확인하죠?
    A4. 홈택스 또는 모바일 안내문 내 확인 메뉴에서 신청 여부 확인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Q5. 신청 기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?
    A5. 기한 내 미신청 시 정기분 장려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. 기한 엄수 필수입니다!



   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
     

    정부가 마련한 장려금 제도는 저소득 가구의 생활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.
   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수백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인데요, 간단한 확인과 신청만으로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    지금 바로 안내문 확인하고, 늦지 않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👇 버튼을 눌러 지금 바로 신청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!